2007년 10월 19일 금요일

관사를 사용하는 방법

미국 퍼듀대학 writing lab에서 가져온 영문법 설명

1. Using Articles

What is an article? Basically, an article is an adjective. Like adjectives, articles modify nouns.

English has two articles: the and a/an. The is used to refer to specific or particular nouns; a/an is used to modify non-specific or non-particular nouns. We call the the definite article and a/an the indefinite article.

the = definite article

a/an = indefinite article

For example, if I say, "Let's read the book," I mean a specific book. If I say, "Let's read a book," I mean any book rather than a specific book.

Here's another way to explain it: The is used to refer to a specific or particular member of a group. For example, "I just saw the most popular movie of the year." There are many movies, but only one particular movie is the most popular. Therefore, we use the.

"A/an" is used to refer to a non-specific or non-particular member of the group. For example, "I would like to go see a movie." Here, we're not talking about a specific movie. We're talking about any movie. There are many movies, and I want to see any movie. I don't have a specific one in mind.

Let's look at each kind of article a little more closely.

Indefinite Articles: a and an

"A" and "an" signal that the noun modified is indefinite, referring to any member of a group. For example:

  • "My daughter really wants a dog for Christmas." This refers to any dog. We don't know which dog because we haven't found the dog yet.
  • "Somebody call a policeman!" This refers to any policeman. We don't need a specific policeman; we need any policeman who is available.
  • "When I was at the zoo, I saw an elephant!" Here, we're talking about a single, non-specific thing, in this case an elephant. There are probably several elephants at the zoo, but there's only one we're talking about here.
Remember, using a or an depends on the sound that begins the next word. So...
  • a + singular noun beginning with a consonant: a boy; a car; a bike; a zoo; a dog
  • an + singular noun beginning with a vowel: an elephant; an egg; an apple; an idiot; an orphan
  • a + singular noun beginning with a consonant sound: a user (sounds like 'yoo-zer,' i.e. begins with a consonant 'y' sound, so 'a' is used); a university; a unicycle

If the noun is modified by an adjective, the choice between a and an depends on the initial sound of the adjective that immediately follows the article:

  • a broken egg
  • an unusual problem
  • a European country (sounds like 'yer-o-pi-an,' i.e. begins with consonant 'y' sound)

Remember, too, that in English, the indefinite articles are used to indicate membership in a group:

  • I am a teacher. (I am a member of a large group known as teachers.)
  • Brian is an Irishman. (Brian is a member of the people known as Irish.)
  • Seiko is a practicing Buddhist. (Seiko is a member of the group of people known as Buddhists.)
Definite Article: the

The definite article is used before singular and plural nouns when the noun is specific or particular. The signals that the noun is definite, that it refers to a particular member of a group. For example:

"The dog that bit me ran away." Here, we're talking about a specific dog, the dog that bit me.

"I was happy to see the policeman who saved my cat!" Here, we're talking about a particular policeman. Even if we don't know the policeman's name, it's still a particular policeman because it is the one who saved the cat.

"I saw the elephant at the zoo." Here, we're talking about a specific noun. Probably there is only one elephant at the zoo.

Count and Noncount Nouns

The can be used with noncount nouns, or the article can be omitted entirely.

  • "I love to sail over the water" (some specific body of water) or "I love to sail over water" (any water).
  • "He spilled the milk all over the floor" (some specific milk, perhaps the milk you bought earlier that day) or "He spilled milk all over the floor" (any milk).

"A/an" can be used only with count nouns.

  • "I need a bottle of water."
  • "I need a new glass of milk."

Most of the time, you can't say, "She wants a water," unless you're implying, say, a bottle of water.

Geographical use of the

There are some specific rules for using the with geographical nouns.

Do not use the before:

  • names of most countries/territories: Italy, Mexico, Bolivia; however, the Netherlands, the Dominican Republic, the Philippines, the United States
  • names of cities, towns, or states: Seoul, Manitoba, Miami
  • names of streets: Washington Blvd., Main St.
  • names of lakes and bays: Lake Titicaca, Lake Erie except with a group of lakes like the Great Lakes
  • names of mountains: Mount Everest, Mount Fuji except with ranges of mountains like the Andes or the Rockies or unusual names like the Matterhorn
  • names of continents (Asia, Europe)
  • names of islands (Easter Island, Maui, Key West) except with island chains like the Aleutians, the Hebrides, or the Canary Islands

Do use the before:

  • names of rivers, oceans and seas: the Nile, the Pacific
  • points on the globe: the Equator, the North Pole
  • geographical areas: the Middle East, the West
  • deserts, forests, gulfs, and peninsulas: the Sahara, the Persian Gulf, the Black Forest, the Iberian Peninsula
Omission of Articles

Some common types of nouns that don't take an article are:

  • Names of languages and nationalities: Chinese, English, Spanish, Russian
  • Names of sports: volleyball, hockey, baseball
  • Names of academic subjects: mathematics, biology, history, computer science

2007년 10월 17일 수요일

인간복제에 관한 글을 읽다가

배아 세포를 실험하는 윤리적 문제에 관한 글을 읽다가 문득 아기가 어떻게 탄생되는지 궁금해졌다. 배아 세포 실험의 요체는 수정된지 14일 정도 되는 배아세포(embrio, 더 구체적으로는 zygoto라고 하는 것 같다.)를 사람으로 볼 것인가 하는 문제였다. 보통 자궁에 착상되려면 14일 정도 소요된다고 하며 50~80%의 배아세포는 자궁에 착상되지 않고  체외로 빠져나간다고 한다. 따라서 14일 미만의 배아세포를 사람이라고 간주해서 이를 슬퍼하는 사람은 지구상에 아무도 없다고 하는 것이 배아 세포 실험 찬성론자의 주장이다. 물론 그사람들이라고 해서 아무렇게나 배아세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고, 의학목적에만 국한해서 연구를 계속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물론 반대론자는 모든 배아세포는 사람이라고 주장하고 생명에 대한 인간의 개입을 경고하고 있다. 나는 어느 입장에 속하지 않다. 좀 찬성론자에 가깝다고 할까나... 어쨌든 전반적인 지식이 부족한듯하여 이리저리 살펴보다 youtube에서 나름대로 정리가 되어 있는 비디오를 찾았다. 생명의 신비는 이제부터 천천이 공부해야 겠다.


2007년 10월 11일 목요일

정말 배워야 할 것 10가지

항상 머리속에는 “앞으로는 무엇을 배워야 할까”라는  화두가  맴돌고 있다. 캐나다에는 이런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이 있었다. 그의 생각을 살펴보고, 나는 그리고 더 나아가서 내 후손들은 무엇을 배워야 할까를 고민해보기로 했다.

2007년 10월 9일 화요일

청각장애자에게 도움이 되는 Visual Language

우연히 청각장애인 대학원생이 사무실의 소리를 모니터로 볼수있는 아이디어를 설명한 것이다. 이것을 어느 곳에 적용할 수 있을까? 설비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 보통 사람들에게도 적용할 가능성은 없을까?

후손들이 21세기를 준비하기 위한 교육

미국 사회에서는 지금처럼 교육해서는 현재의 경쟁력을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고 난리다.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이가? 무엇을 해야 할것인가? 내 자식을 위해 생각해보자.

2007년 10월 4일 목요일

개인의 능력을 높여주는 기술은?

NIBC_report.pdf는 2003년 자료이기는 하지만 시사점이 있는 것 같은 리포트다. 나노기술, 바이오기술, 정보기술, 두뇌기술을 말하는데 이것들의 현재 상황과 향후 진행방향에 대해 설명한다. 너무 양이 많아 괴롭기는 하지만 한번 읽어볼 만 하다.
NBIC_report.pdf

2003년 자료임

NIBC3_report.pdf는 2006년 자료로 좀 더 신선한 자료가 있지만 더 전문적인 자료이다. 똑같이 분량이 많아 부담되기는 하지만 일독의 가치가 있다.
NBIC3_report.pdf

2006년 자료임


2007년 9월 17일 월요일

창조적 벼룩에서 유연한 코끼리로

중소기업 전문 컨설턴트인 스티븐 리틀의 The I Irrefutable Rules of Small Business Growth라는 책을 읽었다. 감동적이지는 않지만 참고할만한 것들이 있긴는 하다. 나중에 참고할 목적으로 정리해서 파워포인트 자료로 만들어 두었다. 일전의 Guy Kawasaki의 The Art of Start 책과 유사하였지만 좀 딱딱한 느낌이 든다. 하지만 정공법으로 나간 점은 좋은 것 같다.



2007년 9월 12일 수요일

인터넷 관련 읽어볼만한 글

웹 서핑을 하다 우연히 accelerating.org라는 사이트에서 metaverse roadmap이라는 글을 다운로드 받았다. 인터넷 서비스가 어떻게 진화되어 갈 것인가에 관한 것 같다. 아직 읽어보지 못했지만 노력이 들어가있는 내용인 것은 분명하다. 내일 홍천에 가면서 읽어봐야 겠다. 어떤 비즈니스 찬스가 있을 것인가?




웹진화론 by 우메다 모치오

재미있게 읽었다. 웹의 진화를 알기쉽게 써서 좋았다. 구글이 왜 성공했는지 알았다. 역시 기술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했다. 파워포인트를 플래시로 제작해보았다. 데모판을 사용해보았는데 깔끔하지 않다. 하지만 글자가 깨지지 않아 마음에 든다. 로고도 멋있고...


2007년 9월 11일 화요일

지식 생산 도구로서의 블로그

우메다 모치의 “웹진화론”에서

블로그가 지적 생산 도구일수도 있겠다는 이유
1. 시간별로 편하게 글을 쓸 수 있고, 용량도 사실상 한계가 없다.
2. 카테고리 분류와 키워드 검색이 가능하다.
3. 컴퓨터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곳이면 정보에 접속할 수 있다.
4. 타인과 쉽게 내용을 공유할 수 있다.
5. 타인과 함께 지적 생산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블로그를 지적 생산 도구로 잘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1. 정보가 인터넷 상에 있을 경우, 링크를 시켜두고 출전도 적는다. 핵심 부분은 따로 복사해서 올린다. 간단한 의견이나 생각을 적어두면 더욱 좋다.
2. 정보가 인터넷에 없을 경우(책이나 잡지에 있는 경우)는 출전을 적어둔다. 번거롭긴 하지만 핵심부분만은 직접 손으로 적어야 한다. 왜 적어놨는지 이유도 달아둔다. 필사 분량이 그리 길지 않다면 저작권 문제에 대한 걱정은 필요없다. 반면 분량이 길고 정보를 공개할 필요가 없다면 블로그를 비공개로 설정해두면 된다.


2007년 7월 12일 목요일

감각의 혼합

Synesthesia라는 현상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칸딘스키와 파인만이 이러한 능력이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2007년 7월 5일 목요일

Art of Innovation by Guy Kawasaki

Presentation Zen 사이트를 둘러보다 우연히 Zentation이라는 사이트에 들어가게 됐는데, 거기서 이사람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게 되었다. 마케팅 사람들의 모임에서라고 하는데 재미있게 봤다. 역시 프리젠테이션은 미국사람이 잘하는 것 같다.


2007년 7월 4일 수요일

마케팅과 세일즈의 관계

Understanding the Sales Process - 2007

There are 3-truths that we can all agree on:

1. Selling is the lifeblood of any organization.

2. Sales only work when there are interested and qualified people to “sell to.”

3. Sales become much more successful (and profitable) when there is an easy and predictable way to continue generating revenue beyond always searching for new clients.

If your goal is to increase revenue, here’s how the sales process should work.

Step 1: Marketing (identification, outreach and attraction) – Marketing’s only job is to identify potential clients, create an outreach campaign and attract them to your selling system. This is where qualified leads move into the sales pipeline.

Step 2: The Selling System (converting attraction into money) – The only thing sales has ever done is convert attraction into money. It’s a one-two punch; marketing attracts and the sales system closes.

Step 3: Client Relationship Management CRM (backend selling, referral generation, Word Of Mouth) – Here’s something odd; few people ever ask existing clients if they’d like to buy more. Even fewer ask for their clients help in reaching new buyers.

To power your business forward this year, develop a winning sales process and watch your revenues soar. 

라식용 나이프


강태원이 제안했던 사항인데 아직 적당한 사람을 구하지 못했다. 현재 크게 시장을 형성하지 못했지만 전량 수입하고 있다고 한다. Starting Point로 삼기 좋은 프로젝트인 것 같다.

자전거 프로젝트 NIM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웨덴 Lund 대학의 프로젝트인듯하다. 프레임을 탄소섬유로 만들었다. 펼치면 레이저로 딸 수 있을 것 같다. 알루미늄이나 타이타늄으로는 안될까? 아주 가벼운 자전거를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http://www.nimbike.com

2007년 4월 23일 월요일

처음 만든 멀티미디어

소니 베가스라는 프로그램을 처음 봤습니다. 정말 매력적입니다. 물론 다른 프로그램도 비슷하겠지요. 이렇게 비디오와 오디오를 편집하는 프로그램을 처음 써보는 저로서는 사람들의 능력에 경외감을 갖게 됩니다. 앞으로 잘 배워서 많이 써 먹어볼 생각입니다.
 

2007년 4월 19일 목요일

홈페이지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어제 www.swpak.kr 도메인를 등록했습니다. 그동안 갖고 싶었는데 실행하지 못하다 2주 전쯤에 퀵돔이라는 것이 나와 신청했습니다. 1년에 17,600원이라니 큰 돈이 아닌데도 왜 그동안 가지지 못했는지 모로겠습니다. 앞으로 내가 만들어 낸 것들로 집을 만들어 볼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