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2월 25일 수요일
이 경제위기가 끝났을때 어떤 모습으로 존재할 것인가...
뉴욕타임즈 컬럼니스트인 토마스 프리드먼. 일전에 MIT에서 The world is flat이라는 동영상 강연을 보고 참 말을 잘한다는 인상을 받은 사람이다. 그가 뉴욕타임즈 2009.2.21자 신문에 쓴 Start Up the Risk-Takers라는 기사를 보았다. 미국 세금(20billion $)으로 GM이나 Chrysler를 도울 것이 아니라 창업자를 도와야 한다는 논지다. 지는 해에 한정된 자원을 투자하지말고 앞으로 미래를 먹여살릴 희망에 투자해야된다는 지극히 당연한 논리이다. 하지만 미래가 두려운 것과 같이 현실도 두렵기 때문에 참 하기 힘든 일이다. 미국에서 에너지 산업이 금융위기 때문에 2008년 4분기 이후에 거의 정지되었다는 것을 이 기사를 보고 알았다. 위기일수록 적극적으로 계획을 세워야한다는 것을 느꼈다. 위기일수록 aggresive하게 인생은 위기에서 시작한다.
2009년 2월 21일 토요일
2009년 2월 19일 목요일
지난 30년간 출현한 혁신 기술 중 최고 30가지는?
1979년부터 2009년 사이에 나온 혁신 기술 중 30개의 랭킹을 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교수들이 선정하였다. 한국이 기여한 것은 몇가지인가?
30. Anti retroviral treatment for AIDS (Health Care)
29. SRAM flash memory (Electronics)
28. Stents (Health Care)
27. ATMs (Finance)
26. Bar codes and scanners (Retail)
25. Bio fuels (Biotechnology)
24. Genetically modified plants (Biotechnology)
23. RFID and applications (e.g. EZpass) (Electronics)
22. Digital photography/videography (Electronics)
21. Graphic user interface (GUI) (Computer Science)
20. Social networking via internet (Media)
19. Large scale wind turbines (Energy)
18. Photovoltaic Solar Energy (Energy)
17. Microfinance (Finance)
16. Media file compression (e.g., jpeg, mpeg, mp3) (Computer Science)
15. Online shopping/ecommerce/auctions (e.g., eBay) (Information Technology)
14. GPS Systems (Electronics)
13. Liquid Crystal Displays (Electronics)
12. Light emitting diodes (first real devices in 1960s; in products in mid-70s) (Electronics)
11. Open source software and services (e.g., Linux, Wikipedia) (Media)
10. Non-invasive laser/robotic surgery (laparoscopy) (Health Care)
9. Office software (Spreadsheets, word processors) (Computer Science)
8. Fiber optics (Telecommunications)
7. Microprocessors (Computer Science)
6.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Biotechnology)
5. DNA testing and sequencing/Human genome mapping (Biotechnology)
4. E-mail (Computer Science)
3. Mobile phones (Telecommunications)
2. PC/laptop computers (Computer Science)
1. Internet/broadband/WWW (browser and HTML) (Telecommunications)
2009년 2월 13일 금요일
머니 앤드 브레인(제이슨 츠바이크)
Your Money and Your Brain: How the New Science of Neuroeconomics Can Help Make You Rich by Jason Zweig

2009년 2월 5일 목요일
과학, 기술 관련 블로그 20선
- Agile Engineering Design a weblog on computational engineering design and agile software development
- Blinkdagger an Engineering and MATLAB blog
- Chris Gammell's Anolog Life Combining renewable energy, analog design and some real life experience
- Curious Cat Science and Engineering Blog
- MATLAB Central An open exchange for the MATLAB and Simulink user community
- eConent Technical Knowledge Management Online Resources
- EE HomePage.com Where Electrical Engineers Navigate a Changing World
- iMechanica web of mechanics and mechanicians
- Invent Civil Civil Engineering news, technology, and opinions
- I'd Rather Be Writing a blog about the latest trends in technical communication
- All about Flexible Macroelectronics Tracking latest technical progress and scientific research on flexible macroelectronics
- Modeling and Control Dynamic World of Process
- Physics and physicist Zapperz's physics blog on the world of physics and physicists.
- Software Engineering-Best Practices new trends in Software Engineering
- Software Engineering Matters giving a little more thought…
- The Invent Blog by Patent Attorney Stephen M. Nipper
- Urban Workbench Sustainable Designs for life
- User Interface Engineering
- Wireless Sensor Networks Blog
오늘의 예술(오카모토 타로)-두가지 개념과 하나의 경험

두가지 개념
예술과 예능의 차이를 아는가? 기술과 기능의 차이를 아는가? 이책을 보고 해답을 알았다. 예술과 기술은 새로운 것을 추구한다. 본질이 같은 것은 정체라 여긴다. 어제를 부정하고 새로운 내일을 추구한다. 하지만 예능과 기능은 기존의 것을 갈고 닦는다. 본질이 같을 것을 극한까지 완성도를 높인다. 이제 알겠는가?
당신은 예술가인가? 기술자인가?
아니면
예능인인가? 기능인인가?
하나의 경험
오카모토는 예술가의 길을 가면서 정말 참담할 정도로 앞이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정말 깜깜한 상황에서 공포에 휘둘릴때 비로서 어딘가에서 희미한 길이 보인다고 한다. 경험이란다.
나도 앞이 보이지 않는다. 정말 깜깜하다. 과연 언제 길이 보일 것인가....
2009년 2월 4일 수요일
만물해독, 정보이론에 압도되다.
열역학, 상대성이론 등이 정보이론과 관계가 있는줄은 처음 알았다. 정보이론이 이렇게까지 깊은 의미가 있는 줄 몰랐다. 미국 언론학 교수인 저자의 지식이 이렇게까지 깊을줄 몰랐다. 과학의 세상을 다시 보게해준 책이다. 번역도 잘되어 있어 읽는 사람이 즐겁다.
이 책을 번역한 지식의 숲(넥서스) 출판사 책을 계속 사주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